2013년 3월 20일 수요일

영상의이해0320


영화 - 사실과 환상  _ 뤼미에르 형제와 조르주 멜리에스의 초기 영화를 중심으로..

영화(CINEMATOGARAPHY)     _ (kinema   -> 움직임을 의미)  c로 바뀐이유는 프랑스어로 지어버림 k -> c
  • Kinema + graphein ( 움직임 + 쓰기, 그리기, 기록) -> 'cinematographe'  -> cinematography'
  • "제 7의 예술 " (리카르도 카누도 R.Canudo)   회화 문학 무용 음악 조각 건축  이렇게 6가지였는데 새로탄생한 7번째 예술이라고 말함.
  • 여러 개의 정지된 이미지를 빠르게 연속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움직임(의 환영)을 만들어냄. (24 images / sec)->가장 익숙한 영화에 frame
  • 호빗은 48frame

뤼미에르 형제 Louis & August Lumiere
-1895년 12월 28일 파리에서 최초 유료 상영  (영화가 시작한 시간에 기준은 유료 상영한 날)
->영화 역사의 시작

<미용의 뤼미에르 공장에서 나오는 사람들>
<물뿌려진 물뿌리는 사람>  -> 코믹함을 넣음
<기차의 도착(사오타역에 도착하는 기차)> 1895  -> 영화에 내용이 없고 그냥 자연스러운 모습을 촬영//우리가 볼때는 아무렇지 않지만 그시대에는 기차가 앞으로 나오는 줄 알고 놀랬을 것이다.


뤼미에르 형제의 영화
  • "즉석에서 포착한 삶" - 루이 뤼미에르
  • 주변의 일상적 사실들을 그대로 담아냄.
  • -> 다큐멘터리적 특징

조르주 멜리에스 Grorges Melies(1861 - 1938)
  • 파리 근교 마술공연 극장 운영. 마술사
  • 마술 공연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영화 장치 활용.
  • 대표작 : <달나라 여행> 1902    -> 소리는 없었으며 변사가 옆에서 해설을 해줌 _ 쉽게 이해 하면 강의중에 교수님이 설명을 하나하나 하는 듯 한것., 내용이 있음  달나라를 가서 달나라사람들을 만나 싸워서 탈출 성공!! 대충 이런 이야기

조르주 멜리에스의 영화
  • 일시 정지, 편집, 특수효과 등을 통한 새로운 영화언어 발견
  • 픽션을 통한 마술적 - 환상적 표현의 확장.
  • -> SF, 판타지 등 극 영화적 특징.(ex. 아바타, 호빗, 매트릭스,등등)

영화 탄생기의 문화적 배경
  • 19세기 후반 과학기술 및 통신, 교통의 발달 -> 새로운 볼거리에 대한 욕망 확대
  • 민중의 문화
        - 자본주의 발달로 급속히 증가한 노동자 및 도시 하층민들을 위한 저렴한 오락거리의 필요성
  • 오페라, 연극이 있었지만 부자들에 오락 시설이였음.
  • 글을 읽을지 몰라서 책을 읽을 수 없었다.
        - 영화란. '문자없는 자들의 문화' _ 벨라 발리즈 Bela Balazs
        - 저렴함. 접근 용이성, 오락성.
  • 문자언어에서 시각언어로의 이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