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보안 –> 안드로이드 보안에서의 종류를 보면 개방형, WEP , WPA/WPA2 PSK, 802.1 x EAP로 나뉜다
- 사용안함(개방형)
- 개방형은 말 그대로 열려 있는 무선망을 말하니 패스 하겠다.
- WEP(Wired Equivalent Privacy)
- 무선 랜 표준을 정의하는 IEEE 802.11 규약의 일부분으로 무선 LAN 운용간의 보안을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
- 2012년 보안성 문제로 인해 IEEE에는 해당 알고리즘을 추천하지 않음
- 인증
- 개방형 시스템 인증
- 공개키 인증
IEEE 802.11i-2004 또는 802.11i는 WPA2 으로서 구현한 IEEE 802.11의 수정판이다. 표준의 초안은 2004년 6월 34일 비준되었다. 이 표준은 무선 네트워크의 보안 메커니즘을 규정한다
- WPA/WPA2 PSK(Wi-Fi Protected Access)
-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의 감시 하에 수행하는 인증 프로그램
- WEP의 취약점을 대안하여 나옴
- WPA2는 2세대 WPA로서 보안 기능이 개선되어있음
- WPA-> BSS(인프라) 모드 , WPA2는 BSS(인프라)모드 및 IBSS(Ad hoc)모드 지원
-> 쉽게 말해 와이파이 협회를 뜻함
**BSS(Bulletin Board System)
PC 통신, 인터넷 등에 있는 게시판. ‘정보를 발신하고 싶은 사람이 여기에 글을 올려놓으면 불특정 다수가 이것을 관람한다’는 기능을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실현시킨 것. 회원 모집이나 악기 매매 등을 게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BBS [Bulletin Board System] (용어해설)
**IBSS(Ad hoc)(Independent Basic Service Set)
독립 BBS를 뜻함, 이는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특정 기간동안 구성되는 몇 개의 station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예를 들어, 회의를 하면서 데이터를 공유가 필요하면 IBSS를 만들고, 회의가 끝나면 IBSS를 폐기하는 예가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