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OS의 구조
크게 4가지로 나뉜다
Cocoa Touch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부분)
-파운데이션(Foundation)프레임워크와 유저 인터페이스요소를 제공하는 Unit, 지도를 사용하기 위한 Map kit, 메세지 UI, 알림 서비스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Object C 기반의 고수준의 API를 제공한다.
- Cocoa
- Cocoa Touch
- 두가지로 나뉘는데 Cocoa Touch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iPhone,iPad,iPod)놈들을 위한 UI를 제공, 그럼 Cocoa는 Mac이겠지?:)
Media Layer
- C와 Object C가 혼합된 형태이고, 2d와 3d 그리고 오디오와 비디오에 관련된 기능 제공
Core Service
-개발자의 손이 직접적으로 닿기 시작하는 첫 부분이라 생각하면 쉽다. 코어 서비스는 Address Book, Event Kit, Core Location, Core Motion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예시로 열거된 Address Book의 경우, 주소록 접속이 가능하게 해주고 Event Kit은 달력, Core Location은 GPS 기능을 활용한다. 또 Core Motion의 경우, 움직임과 이동에 관한 모든 프로세스를 담당하는데 아이폰 4이후로 추가된 자이로스코프도 여기에서 담당한다. 그외로 Core Foundation Framework, Foundation Framework, Store Kit, System Configuration 등 많은 요소가 포함되는 계층
Core OS(하드웨어와 가장 가까운 부분)
- iOS의 가장 기본이 되는 계층으로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핵심 기능들을 담당한다. 하드웨어 컨트롤과 시스템의 암호화 기능이 이 계층에서 담당하며 개발자들에게 유닉스 툴을 제공하기도 한다. 코어 OS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곤 대부분의 서드파티 개발자들은 코어 OS까지 손을 댈 이유는 거의 없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