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net이란..?
telnet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을 하면 ,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결에 쓰이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텔넷의 보안 문제 때문에 사용률이 감소하여, 원격 제어를 위해 SSH로 대체되기도 하였다. [ 여기서 나오는 ssh에 대해서도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
*ssh(Secure Shell)
->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 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을 가리킨다. 기존의 rsh, rlogin, 텔넷 등을 대체하기 위해 설계 되었으며, 강력한 인증 방법 및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게 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내가 Vmware의 우분투에 접근하거나 라즈베리파이에 접근할 때 프로토콜을 ssh로 사용하는 이유?!..사실 기본으로 잡혀있었따!! 이런이유가!]
우연히 Xshell의 설정을 보다가 여러가지 프로토콜 방식을 볼 수 있었다.
- SSH
- TELNET
- RLOGIN
- SFTP
- SERIAL
RLOGIN이란..?
- 설명 : remote login의 약어로 호스트에 원격으로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이다. 원격으로 접속할 원격지에는 .rhosts파일 또는 /etc/hosts.equiv 파일에 호스트가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 사용법 : rlogin [option] host
- option : –l : 계정을 미리 지정하여 로그인 할 수 있다 [현재 이 옵션은 지원 하지 않음]
- 사용예
- rlogin www.aaaaa.aa.kr => www.aaaaa.aa.kr로 접속한다.
- rlogin –l posein www.aaa.co.kr –> www.aaa.co.kr로 접속을 시도할 때 aaa.co.kr의 posein이라는 계정을 가지고 한다.
- rlogin 203.247.xxx.xx => 203.247.xxx.xx로 접속을 시도한다.
RSH이란..?
- 설명 : remots shell의 약자로 원격으로 명령을 내릴 경우에 사용한다. rlogin과 다른 점은 rlogin으로 접속했을 경우에 who나 w명령을 치면 접속했다는 것이 보이지만, rsh로 옵션을 주어 접속하거나 원격지에서 그냥 명령만 수행시에는 보이지 않는다. (.rhosts파일이 존재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 설정
(기본설정)
#shell stream tcp nowait root /usr/sbin/tcpd in.rshd
#login stream tcp nowait root /usr/sbin/tcpd inrlogind
(활성화된 상태)
shell stream tcp nowait root /usr/sbin/tcpd in.rshd
login stream tcp nowatit root /usr/sbin/tcpd in.rlogind
댓글 없음:
댓글 쓰기